개요 최근 4월부터 제로베이스 부트캠프를 시작하면서, 내가 사용하는 기술들과 트러블슈팅, 기술 블로그를 거의 못한 것같다. 거의 자료구조나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문제 풀이에 대한 고찰들을 포스팅했었다. 여기에서 오는 현타가 너무 심해, 앞으로는 시간을 내서라도 내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갔는지, 어떻게 오류를 알게되었는지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하게 될 것같다. 물론 코딩테스트 내용과 자료구조, 알고리즘에 대한 글도 꾸준히 써내려갈 예정이다. 내용 우선 쓰게될 기술 블로그들의 토픽이다. 1. AWS RDS + VPC Error 최근에 터져버린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해당 프로젝트에서 로컬 환경에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올바르지 못한 것같아, 배포 단계에 사용할 RDS에 대해서 ..
현재 내 상황 대학교 졸업 이후 이력서 작성 및 수정 중 개발 동아리에서 클라우드 부분 공부중 인프런 김영한 자바-스프링 로드맵 달리기 중 제로 베이스 부트캠프 진행 중 계획하는 백엔드 공부 계획 Java 자바 자료형 타입 내부 메서드 공부 ex) Integer, String, Character, Stream 자료구조 ex) Stack, Queue, Heap..,etc Stream API 공부 코딩 테스트 매일 5문제씩 문제 풀기 -> 백준, 프로그래머스, Leet Code 알고리즘 공부 -> 그리디, BFS, DFS, DP, 다익스트라 등등 CS 지식 OS, Network, DB 관련 공부 OS - 공룡책 Network - 모두의 네트워크 DB - 데이터베이스 첫걸음 Github 면접 대비 CS 지식 ..
개요 많은 사람들이 백엔드로 취업을 원할 때, 가장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가 뭘까? 내 생각으로는 어떤 것을 공부해야 할 지에 대한 검색 키워드가 가장 많을 것 같다. 그렇다면 연관 검색 키워드로 로드맵과 같은 것들이 보일 텐데, 위의 사진과 같은 구조의 글들이 많을 것 같다. 밑에서 하나씩 다뤄보면서 내 생각에 관한 내용들을 정리해볼 예정이다. 위의 백엔드 로드맵을 예시로 들면, 가자 먼저 인터넷에 관한 지식들을 먼저 학습하라고 한다. 어떤 이유에서 인터넷 지식들을 학습하라고 하는 것일까? 내 생각으로는, 백엔드라는 것은 웹 서비스를 운영할 때 반드시 필요한 요소일 것이다. 웹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가장 기초적인 인터넷에 관한 지식들을 학습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생각한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Front-end와 Back-end의 정의와 차이점, 그리고 내가 왜 백엔드를 선택했는지에 대한 이유를 포스팅하려고한다. 웹 개발우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정의와 차이점을 얘기하기 전에 웹이라는 것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알아야한다. 우리가 흔히 보는 Google, Naver 등등 여러 사이트들은 어떠한 UI로 이루어져있다. 사용자가 클릭할 수 있는 버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 기사들의 썸네일과 같은 요소로 화면이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떠한 내용을 넣고 버튼을 누르거나, 엔터키를 입력하거나, 클릭을 할 때 동작하는 함수들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있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보이는 내용들을 개발자들은 흔히 Front-End, 보이지 않는 함수와 같은 내용들을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