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 책
연관 관계 매핑 종류와 방향 One To One (1대1)관계하나의 객체에 대해서 반드시 하나의 연관 객체만 매핑되는 구조 1 대 1 단방향 관계 예를 들면, 상품과 그 상품에 대한 상세정보는 1대 1 매핑일 것이다.  코드상으로는 Product Detail Entity 클래스에서 Product Entity를 가지도록 해야 한다. @OneToOne 어노테이션과 @JoinColumn(name="product_number")를 통해서 1대 1 관계를 매핑하게 된다. JoinColumn에서는 여러 가지 속성 값을 지정해 줄 수도 있는데,  name : 매핑항 외래키의 이름을 설정합니다.rerferencedColumnName : 외래키가 참조할 상대 테이블의 칼럼명을 지정합니다.foreignKey : 외래키를 ..
· 책
Chap.8 Spring Data JPA 활용1. JPQL JPQL은 JPA Query Language의 줄임말이고 JPA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쿼리를 의미한다.JPQL은 SQL문법과 상당히 유사해서 DB와 SQL에 익숙하다면 빠르게 익혀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진짜 SQL문과 거의 똑같다고 볼 수 있다.우선 FROM절에 어떤 데이터를 조회할 것인지에 따라 해당 엔티티 타입이 들어가고 SELECT절에는 해당 테이블의 어떤 정보를 가져올 것인지를 뜻한다. 만약 p.name과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면, p 엔티티의 이름만 쭉 나오게 될 것이다.WHERE절을 통해서 우리가 추출하고자 하는 부분들만 따로 추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Query Method 살펴보기하지만, JPQL의 ..
개요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바로 API 요청을 Spring Boot Framework에서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나름 Spring을 조금 공부했다고 생각했어는데, 정작 이런 흐름을 알게 된지는 얼마 안됐다.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다음 그림과 같은 흐름대로 API가 처리된다고 보면 될 것같다.1. FilterFilter는 사용자가 서버로 전송한 정보를 가장 먼저 획득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Filter에서는 전처리, 인증과 인가와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흔히 우리가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JWT를 사용하면, Access Token과 같은 토큰을 발급받습니다. 이후 마이 페이지와 같은 사용자별로 다른 정보를 받기 위한 요청을 할 때, Request..
개요이전에는 그냥 개발만 하고, 컨트롤러, 서비스, JPA와 같은 것만 다루다 보니까 어떤 흐름인지 느낌적으로만 알았는데 이전에 순수 자바로 스프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순수 톰캣을 다뤄봤었다. 해당 웹 서비스를 제작할 때, JSP와 서블릿, DB Handler를 통해서 구현했었는데, 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지 않고 톰캣을 쓰지?시간을 낭비하는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주변의 지인들도 톰캣과 서블릿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하고있다고 하니까 다들 기겁하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다... 하지만, 최근에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에 대한 깊은 공부를 하게 되면서, 왜 서블릿을 통해서 과제를 진행했는지 알게되는 것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외부에서 Http 요청을 통해 API를 호출했을 때, 스프링 부트 내부에서 이뤄..
heesang0930
'spring' 태그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