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더넷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 대중화 되어 있음.
이더넷의 역할
- 동일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장비까지 전달 받은 데이터 운반
- OSI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케이블 통신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더넷 프레임은 전기 신호로 전송
-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MAC주소 사용
기존의 허브에서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데, 목적지 MAC 주소를 갖지 않는 PC에서는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더넷에서는 CSMA/CD 방식을 채택해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다.
CSMA /CD 가 무슨 뜻이지?
CS 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
MA는 신호가 흐르지 않는다면 보내도 좋다는 규칙
CD는 충돌을 감지한다는 뜻
(CSMA/CA도 존재 ⇒ 마찬가지로 효율이 좋지 않음)
CSMA/CD ⇒ 효율이 좋지 않음 → 스위치에서는 다른 방식을 사용해서 충돌을 회피!
MAC 주소 ⇒ 물리적인 하드웨어가 갖고 있는 유일한 주소
24비트 + 24비트로 구성 ⇒ 총 48비트 ⇒ 6바이트
데이터 링크계층에서는 트레일러와 이더넷 헤더를 붙히는데, 6바이트의 출발지 MAC 주소, 6바이트의 목적지 주소, 2비트의 유형비트. 유형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캡슐화 과정 중 데이터링크에서 트레일러와 이더넷 헤더를 붙힌 것을 “프레임”이라고한다.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송한다.
우선 A 지점에서 C 지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테이블에 C 지점의 MAC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플로딩”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플로딩 현상이란 기존의 허브에서 발생하던 목적지가 아닌 곳으로 데이터가 흘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블에 목적지 MAC 주소가 등록이 되어 있다면, 정해진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전이중 통신이란 송신 케이블과 수신 케이블을 따로 사용하는 통신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은 반이중 통신에 비해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다. 스위치가 해당 통신 방법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이중 통신이란 송신 및 수신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고 CSMA/CD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회피해야 한다.

충돌 도메인이란 충돌이 발생했을 때, 해당 충돌이 미치는 여파의 범위이다. 허브의 경우 해당 허브에 선을 이어놓은 모든 장비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에 해당하고, 스위치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충돌 도메인을 갖는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오류가 모든 컴퓨터에 영향을 미친다!

스위치에서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다른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효경의 운영체제]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모두의 네트워크]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2주차 강의 내용 정리 (0) | 2023.09.24 |
[반효경의 운영체제] 1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

이더넷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 대중화 되어 있음.
이더넷의 역할
- 동일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장비까지 전달 받은 데이터 운반
- OSI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케이블 통신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더넷 프레임은 전기 신호로 전송
-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MAC주소 사용
기존의 허브에서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데, 목적지 MAC 주소를 갖지 않는 PC에서는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더넷에서는 CSMA/CD 방식을 채택해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다.
CSMA /CD 가 무슨 뜻이지?
CS 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
MA는 신호가 흐르지 않는다면 보내도 좋다는 규칙
CD는 충돌을 감지한다는 뜻
(CSMA/CA도 존재 ⇒ 마찬가지로 효율이 좋지 않음)
CSMA/CD ⇒ 효율이 좋지 않음 → 스위치에서는 다른 방식을 사용해서 충돌을 회피!
MAC 주소 ⇒ 물리적인 하드웨어가 갖고 있는 유일한 주소
24비트 + 24비트로 구성 ⇒ 총 48비트 ⇒ 6바이트
데이터 링크계층에서는 트레일러와 이더넷 헤더를 붙히는데, 6바이트의 출발지 MAC 주소, 6바이트의 목적지 주소, 2비트의 유형비트. 유형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캡슐화 과정 중 데이터링크에서 트레일러와 이더넷 헤더를 붙힌 것을 “프레임”이라고한다.

스위치는 MAC 주소 테이블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전송한다.
우선 A 지점에서 C 지점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할 때, 테이블에 C 지점의 MAC 주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플로딩”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플로딩 현상이란 기존의 허브에서 발생하던 목적지가 아닌 곳으로 데이터가 흘러가는 것을 의미한다. 테이블에 목적지 MAC 주소가 등록이 되어 있다면, 정해진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전이중 통신이란 송신 케이블과 수신 케이블을 따로 사용하는 통신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은 반이중 통신에 비해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이다. 스위치가 해당 통신 방법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이중 통신이란 송신 및 수신을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신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높고 CSMA/CD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충돌을 감지하고 회피해야 한다.

충돌 도메인이란 충돌이 발생했을 때, 해당 충돌이 미치는 여파의 범위이다. 허브의 경우 해당 허브에 선을 이어놓은 모든 장비가 하나의 충돌 도메인에 해당하고, 스위치의 경우에는 독립적인 충돌 도메인을 갖는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오류가 모든 컴퓨터에 영향을 미친다!

스위치에서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다른 컴퓨터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효경의 운영체제]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모두의 네트워크]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2주차 강의 내용 정리 (0) | 2023.09.24 |
[반효경의 운영체제] 1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