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
[모두의 네트워크]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2주차 강의 내용 정리 (0) | 2023.09.24 |
[반효경의 운영체제] 1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
[데이터베이스 첫 걸음] 2장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 카드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랜 선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케이블 종류와 구조
케이블의 종류에는 TP 케이블, 광케이블, 등등 여러 케이블이 존재한다.
그 중 Twisted Pair Cable은 꼬인 선 구조를 가진 케이블이다. 트위스트 케이블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Unshield 처리가 된 UTP, Shield 처리가 된 STP가 존재한다.
UTP는 선 외부에 쉴드가 존재하지 않아, 외부로 부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장애가 생길 가능성이 높지만, 낮은 가격으로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STP는 꼬인 선 바깥으로 금속 막같은 쉴드로 둘러 쌓여 있는 구조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나 간섭의 영향이 적어, 데이터가 유실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비싼 가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런 TP 구조는 보통 랜 선을 구성할 때 사용된다.
다이렉트 케이블 & 크로스 케이블
다이렉트 케이블은 PC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랜카드에서부터 공간에 존재하는 유선 인터넷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하나의 송신 단자가 동일한 위상의 다른 수신 단자와 맞물려 있는 구조이다.
크로스 케이블은 하나의 PC와 다른 PC간의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동일한 위상의 송 수신 단자가 아닌 1번 송신단자가 3번 수신단자와 연결되어, “크로스”되어 있다고 해서 크로스 케이블이다.

크로스 케이블의 내부 선들이 크로스 되어 있는 이유는 데이터 전송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충돌이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부러 교차시켜서 연결한다.
리피터와 허브의 구조
리피터는 장거리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신호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신호가 낮은 레벨을 가질 경우,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달하지 못 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가지고, 리피터 허브라고도 불린다. 리피터는 1대1 통신만 가능하지만, 허브는 여러개의 포트를 통해 여러 컴퓨터와도 통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허브의 경우,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나머지 다른 포트들도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기때문에, 이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부르고, 이러한 비효율적인 부분을 개선한 장비가 스위치 이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
[모두의 네트워크]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2주차 강의 내용 정리 (0) | 2023.09.24 |
[반효경의 운영체제] 1주차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
[데이터베이스 첫 걸음] 2장 공부 내용 정리 (0) | 2023.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