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이전 포스팅에 이어서 바로 API 요청을 Spring Boot Framework에서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할 예정이다.나름 Spring을 조금 공부했다고 생각했어는데, 정작 이런 흐름을 알게 된지는 얼마 안됐다.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다음 그림과 같은 흐름대로 API가 처리된다고 보면 될 것같다.1. FilterFilter는 사용자가 서버로 전송한 정보를 가장 먼저 획득하는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Filter에서는 전처리, 인증과 인가와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흔히 우리가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JWT를 사용하면, Access Token과 같은 토큰을 발급받습니다. 이후 마이 페이지와 같은 사용자별로 다른 정보를 받기 위한 요청을 할 때, Request..
개요이전에는 그냥 개발만 하고, 컨트롤러, 서비스, JPA와 같은 것만 다루다 보니까 어떤 흐름인지 느낌적으로만 알았는데 이전에 순수 자바로 스프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순수 톰캣을 다뤄봤었다. 해당 웹 서비스를 제작할 때, JSP와 서블릿, DB Handler를 통해서 구현했었는데, 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지 않고 톰캣을 쓰지?시간을 낭비하는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주변의 지인들도 톰캣과 서블릿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하고있다고 하니까 다들 기겁하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다... 하지만, 최근에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에 대한 깊은 공부를 하게 되면서, 왜 서블릿을 통해서 과제를 진행했는지 알게되는 것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외부에서 Http 요청을 통해 API를 호출했을 때, 스프링 부트 내부에서 이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