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집에 안 쓰는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이 있지 않나요? 기존의 컴퓨터를 사용하다가 새로운 데스크 탑을 샀을 때, 혹은 윈도우를 쓰다가 맥으로 갈아탔을 때! 기존의 PC를 버리지 말고 나만의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기회로 바꿔보는 것은 어떨까요? 기존의 방법에서는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돈을 결제해야했습니다. 예를 들자면, AWS의 EC2 서비스를 말이죠 AWS t2.micro 1시간당 0.0116 달러 → 1일 0.2784 달러 → 1당 8.352 달러 → 1320원 환율기준 11024.64 1 vCPU, 1GB Memory, 기본 8GB 저장장치 하지만,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Elastic IP 등등의 이유로 그 이상의 가격이 나오게 됩니다. 집 서버 단돈 전기료 몇 천 원 CPU, Memory, SSD..
이더넷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 받는 규칙. 대중화 되어 있음. 이더넷의 역할 - 동일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장비까지 전달 받은 데이터 운반 - OSI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케이블 통신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이더넷 프레임은 전기 신호로 전송 - 동일 네트워크에서는 MAC주소 사용 기존의 허브에서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로 데이터가 전송되었는데, 목적지 MAC 주소를 갖지 않는 PC에서는 데이터를 파기한다. 이더넷에서는 CSMA/CD 방식을 채택해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다. CSMA /CD 가 무슨 뜻이지? CS 는 케이블에 신호가 흐르고 있는지 확인 MA는 신호가 흐르지 않는다면 보내도 좋다는 규칙 CD는 충돌을 감지한다는 뜻..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OSI 7 Layer에 따르면,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물리 계층에서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려면, 물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하다. 변환 방법 전기 신호의 종류에는 아날로그 신호, 디지털 신호 2가지의 신호가 존재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는 자연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이면서, 불규칙성을 가지고ex) 라디오 디지털 신호는 인위적으로 발생하는 신호로, 규칙성을 띈다. ex)1, 0 이러한 신호들을 PC에 부착되어 있는 랜 카드를 통해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를 전달한다. 랜 카드 랜 선 랜선을 PC에 연결하고, 유선 인터넷 망으로 연결하면 데이터 전송이 시작된다. PC에서 전송을 할 때, 사용자가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