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구조

개요이전에는 그냥 개발만 하고, 컨트롤러, 서비스, JPA와 같은 것만 다루다 보니까 어떤 흐름인지 느낌적으로만 알았는데 이전에 순수 자바로 스프링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순수 톰캣을 다뤄봤었다. 해당 웹 서비스를 제작할 때, JSP와 서블릿, DB Handler를 통해서 구현했었는데, 왜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지 않고 톰캣을 쓰지?시간을 낭비하는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주변의 지인들도 톰캣과 서블릿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하고있다고 하니까 다들 기겁하던 모습이 아직도 선명하다... 하지만, 최근에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에 대한 깊은 공부를 하게 되면서, 왜 서블릿을 통해서 과제를 진행했는지 알게되는 것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외부에서 Http 요청을 통해 API를 호출했을 때, 스프링 부트 내부에서 이뤄..
heesang0930
'내부 구조'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