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에 얽힌 돈 이야기
초기비용과 운영비용
초기 비용이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즉시 지불해야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운영 비용이란 어떤 상품을 구매한 이후에, 특정 기간동안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구매할 때, 일시불로 600,000을 내고 한 달에 25,000을 지불하는 것과 처음에는 공짜로 구매하고 한 달에 50,000을 지불하는 것이 있다. 두 개의 케이스 모두 총 금액은 1,200,000원으로 동일하지만, 첫 번째 케이스는 초기비용으로 600,000원 운영비용으로 1달간 25,000을 지불하고, 두 번째 케이스는 초기비용은 0원이지만, 운영비용으로는 1달간 50,000원을 지불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DBMS에 적용한다면, DBMS 라이선스를 구매하는 것은 초기 비용, DBMS 회사로부터 기술적 점검에 대한 비용을 내는 것은 운영비용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비용은 라이선스료에 해당한다.
라이선스의 종류와 차이점
라이선스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프로세서 라이선스는 DBMS를 설치해서 동작하는 하드웨어의 CPU 성능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라이선스 체계고, 사용자 라이선스는 DBMS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라이선스 체계입니다.
프로세서 라이선스는 보통 대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저의 수가 많아 정확하게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유리하고, 사용자 라이선스는 회사 내부에서 사용할 목적이거나, 사용자의 수가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2개의 라이선스 모두 시스템의 규모가 커질수록 라이선스 비용이 증가한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초기비용 증가의 원인 → 에디션!
MySQL의 경우, 스탠다드 에디션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이 존재하는데, 스탠다드는 일반적인 사용자들도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버전이고,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을 회사를 상대로 B2B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은 보통 스탠다드에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들이 초기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운영비용의 필요성
라이선스료만 지급한다고 해서 DBMS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초기비용에 못지않게 운영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운영비용은 기간이 존재하는 비용으로, 일정 기간에 ~~원이라는 비용 계산을 합니다. 이는 이용기간이 길어질 수록 비용이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비용은 기술지원 비용인데, 기술 지원은 DBMS를 사용하던 중 발생하는 버그나 이해할 수 없는 동작이 발생할 경우 해결해주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술 지원에는 기술Q&A, 버그 수정을 위한 프로그램 배포, 최신 버전으로의 업데이트 권리, 새로운 OS나 하드웨어에 대응, 컨설턴트, 노하우, 버그 해결과 같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중요한 서비스를 받는 만큼, 기술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중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결이 힘든 경우가 있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1 (0) | 2024.06.23 |
---|---|
[데이터베이스 첫 걸음]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모두의 네트워크]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데이터베이스에 얽힌 돈 이야기
초기비용과 운영비용
초기 비용이란 어떤 상품을 구매할 때, 즉시 지불해야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운영 비용이란 어떤 상품을 구매한 이후에, 특정 기간동안 해당 상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비용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을 구매할 때, 일시불로 600,000을 내고 한 달에 25,000을 지불하는 것과 처음에는 공짜로 구매하고 한 달에 50,000을 지불하는 것이 있다. 두 개의 케이스 모두 총 금액은 1,200,000원으로 동일하지만, 첫 번째 케이스는 초기비용으로 600,000원 운영비용으로 1달간 25,000을 지불하고, 두 번째 케이스는 초기비용은 0원이지만, 운영비용으로는 1달간 50,000원을 지불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들을 DBMS에 적용한다면, DBMS 라이선스를 구매하는 것은 초기 비용, DBMS 회사로부터 기술적 점검에 대한 비용을 내는 것은 운영비용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비용은 라이선스료에 해당한다.
라이선스의 종류와 차이점
라이선스에는 2가지의 종류가 존재하는데, 프로세서 라이선스는 DBMS를 설치해서 동작하는 하드웨어의 CPU 성능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라이선스 체계고, 사용자 라이선스는 DBMS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라이선스 체계입니다.
프로세서 라이선스는 보통 대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유저의 수가 많아 정확하게 측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유리하고, 사용자 라이선스는 회사 내부에서 사용할 목적이거나, 사용자의 수가 적은 경우에 유리하다. 2개의 라이선스 모두 시스템의 규모가 커질수록 라이선스 비용이 증가한다는 특징이 존재한다.
초기비용 증가의 원인 → 에디션!
MySQL의 경우, 스탠다드 에디션과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이 존재하는데, 스탠다드는 일반적인 사용자들도 사용할 수 있는 무료 버전이고,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을 회사를 상대로 B2B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엔터프라이즈 에디션은 보통 스탠다드에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점들이 초기비용의 증가를 야기한다.
운영비용의 필요성
라이선스료만 지급한다고 해서 DBMS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초기비용에 못지않게 운영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운영비용은 기간이 존재하는 비용으로, 일정 기간에 ~~원이라는 비용 계산을 합니다. 이는 이용기간이 길어질 수록 비용이 증가한다는 의미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비용은 기술지원 비용인데, 기술 지원은 DBMS를 사용하던 중 발생하는 버그나 이해할 수 없는 동작이 발생할 경우 해결해주는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술 지원에는 기술Q&A, 버그 수정을 위한 프로그램 배포, 최신 버전으로의 업데이트 권리, 새로운 OS나 하드웨어에 대응, 컨설턴트, 노하우, 버그 해결과 같은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중요한 서비스를 받는 만큼, 기술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중대한 오류가 발생한 경우 해결이 힘든 경우가 있다.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ok]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Chap.1 (0) | 2024.06.23 |
---|---|
[데이터베이스 첫 걸음]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반효경의 운영체제] 3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
[모두의 네트워크] 4주차 공부 내용 정리 (1) | 2023.10.17 |